PR
홍보동영상
2023. 08 [기고] 식량 안보를 지키는 미래 농업의 중추, '스마트팜'의 힘
작성자
WDG Farm
작성일
2023-08-07 16:24
조회
1044
우듬지팜 강성민 대표이사
최근 세계 각국의 '식량 안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기후 변화 및 급변하는 세계정세 등으로 글로벌 식량 위기 우려가 높아지고 농산물 가격에 직접적인 타격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국내 역시 이 같은 흐름에서 무관하지 않다.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식량자급률을 55.5%로 상향하겠다는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국내 작물 생산 비중을 늘려 안정적인 식량 자원을 확보하고 식량 주권을 지키겠다는 취지다.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한 '영농 자생력', 즉 식량 안보를 지켜낼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국내 영농계가 처한 현실 때문이다. 최근 몇 년 새 농산물을 생산하는 '땅'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국내 경지면적은 약 152만 8000ha로 전년 대비 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적인 인력 부족 역시 농업계의 고질적 문제 중 하나다. 토지와 노동 인력 투입을 줄이면서도 재배 효율을 늘릴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강성민 우듬지팜 대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수십 배까지 높일 수 있는 스마트팜은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미래 농업의 차세대 인프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스마트팜은 AI, ICT, IoT 등 첨단 IT 기술로 최상의 재배 환경을 조성한 농장을 일컫는다. 특히 온도, 습도, 광량 등 작물 생장에 필수적인 요소를 제어할 수 있는 '시설원예 스마트팜'은 소규모 공간에서도 재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재배 환경을 안정적,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기후 변화 및 인력난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식량 산업의 판도를 바꿀 기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아직까지 농가 확산이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국내 시설원예 스마트팜 보급률은 2022년 말 기준 12.8% 수준이다. 스마트팜은 기술력과 장비가 필수적인 농법인 만큼, 개인 단위 운영이 많은 일반 농가가 단순한 교육만으로 실전에 이를 적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8년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한 데 더해 지난해부터는 스마트팜 수출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농가에서는 여전히 초기 투입 비용 부담을 높게 느끼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팜의 기술 선진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농가 보급 단가는 낮추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팜 기술 보유 기업과 농가 모두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면서도 표준화된 체계를 갖춘 단계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력의 강화 및 저탄소 농업기술의 적용 역시 중요한 과제다. 국내 영농계를 장기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4계절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농법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만큼 전문 인력의 확보 및 기술 기반 기업의 관리, 기후 및 농법 데이터 자원 제공 등 충분한 정책적 지원도 함께 따라야 한다.
이러한 국내 기업 기술력의 강화는 K-스마트팜의 해외 판로 개척 등 영역을 확장한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 규모는 2025년에는 22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향후 시장의 전망도 밝다. 실제 고도화된 기술을 갖춘 K-스마트팜은 중동 지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주목받는 매력적인 사업모델 중 하나다. 필자가 운영하는 우듬지팜 역시 국내 최초의 반밀폐 온실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UAE,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중동에서 다수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스마트팜이 가져올 밝은 미래는 바로 우리 눈앞에 있다. 네덜란드는 이미 90% 이상의 스마트팜 보급률을 통해 척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농업 선진 강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우리 역시 다양한 외부적 위협에 대비해 농업에 대한 시각을 바꿔야 한다. 스마트팜은 낯설고 신기한 공간이 아닌 우리 식량 산업의 근간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식량 안보를 최전선에서 지키기 위한 우리 영농계의 빠른 변화가 필요한 때다.
강 성 민 우듬지팜 대표이사 =△숭실대학교 경영학 학사 △세종대학교 경영학 석사 △서울대학교 농식품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前) 이랜드 테마파크 대표이사, (前) 이랜드 건설 대표이사, (前) 동아백화점 총괄 본부장
뉴스핌
최근 세계 각국의 '식량 안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기후 변화 및 급변하는 세계정세 등으로 글로벌 식량 위기 우려가 높아지고 농산물 가격에 직접적인 타격이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국내 역시 이 같은 흐름에서 무관하지 않다. 정부는 오는 2027년까지 식량자급률을 55.5%로 상향하겠다는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국내 작물 생산 비중을 늘려 안정적인 식량 자원을 확보하고 식량 주권을 지키겠다는 취지다.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한 '영농 자생력', 즉 식량 안보를 지켜낼 힘을 기르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국내 영농계가 처한 현실 때문이다. 최근 몇 년 새 농산물을 생산하는 '땅'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국내 경지면적은 약 152만 8000ha로 전년 대비 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적인 인력 부족 역시 농업계의 고질적 문제 중 하나다. 토지와 노동 인력 투입을 줄이면서도 재배 효율을 늘릴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강성민 우듬지팜 대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수십 배까지 높일 수 있는 스마트팜은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미래 농업의 차세대 인프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스마트팜은 AI, ICT, IoT 등 첨단 IT 기술로 최상의 재배 환경을 조성한 농장을 일컫는다. 특히 온도, 습도, 광량 등 작물 생장에 필수적인 요소를 제어할 수 있는 '시설원예 스마트팜'은 소규모 공간에서도 재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재배 환경을 안정적,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기후 변화 및 인력난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식량 산업의 판도를 바꿀 기수 역할을 해낼 수 있는 것이다.
문제는 아직까지 농가 확산이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국내 시설원예 스마트팜 보급률은 2022년 말 기준 12.8% 수준이다. 스마트팜은 기술력과 장비가 필수적인 농법인 만큼, 개인 단위 운영이 많은 일반 농가가 단순한 교육만으로 실전에 이를 적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8년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한 데 더해 지난해부터는 스마트팜 수출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농가에서는 여전히 초기 투입 비용 부담을 높게 느끼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팜의 기술 선진화를 촉진하는 동시에 농가 보급 단가는 낮추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팜 기술 보유 기업과 농가 모두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이면서도 표준화된 체계를 갖춘 단계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한국형 스마트팜' 기술력의 강화 및 저탄소 농업기술의 적용 역시 중요한 과제다. 국내 영농계를 장기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4계절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농법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만큼 전문 인력의 확보 및 기술 기반 기업의 관리, 기후 및 농법 데이터 자원 제공 등 충분한 정책적 지원도 함께 따라야 한다.
이러한 국내 기업 기술력의 강화는 K-스마트팜의 해외 판로 개척 등 영역을 확장한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 규모는 2025년에는 22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향후 시장의 전망도 밝다. 실제 고도화된 기술을 갖춘 K-스마트팜은 중동 지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주목받는 매력적인 사업모델 중 하나다. 필자가 운영하는 우듬지팜 역시 국내 최초의 반밀폐 온실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UAE,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중동에서 다수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스마트팜이 가져올 밝은 미래는 바로 우리 눈앞에 있다. 네덜란드는 이미 90% 이상의 스마트팜 보급률을 통해 척박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농업 선진 강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우리 역시 다양한 외부적 위협에 대비해 농업에 대한 시각을 바꿔야 한다. 스마트팜은 낯설고 신기한 공간이 아닌 우리 식량 산업의 근간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식량 안보를 최전선에서 지키기 위한 우리 영농계의 빠른 변화가 필요한 때다.
강 성 민 우듬지팜 대표이사 =△숭실대학교 경영학 학사 △세종대학교 경영학 석사 △서울대학교 농식품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前) 이랜드 테마파크 대표이사, (前) 이랜드 건설 대표이사, (前) 동아백화점 총괄 본부장
뉴스핌